당신의 '좋아요'와 '후원금'이 누군가의 탈세 자금으로… 1인 미디어 시대의 어두운 이면, 이대로 괜찮을까요?

추적 89억: 국세청의 칼날, 유튜버 탈세의 검은 커넥션을 베다

추적 89억: 국세청의 칼날, 유튜버 탈세의 검은 커넥션을 베다

2025년 대한민국, 부(富)의 지형도가 바뀌고 있다. 과거의 부가 부동산과 주식 시장에서 나왔다면, 새로운 부는 '트래픽'과 '영향력'에서 나온다. 그 중심에 선 유튜버, 혹은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들은 이제 단순한 방송인을 넘어 하나의 기업이자, 막강한 현금 창출력을 지닌 신흥 권력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빛이 강하면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국세청이 최근 공개한 자료는 이 화려한 성공 신화의 어두운 이면을 남김없이 드러냈다.

국세청은 작년 한 해에만 21명의 유튜버를 상대로 세무조사를 단행, 총 89억 원에 달하는 세금을 추징했다. 1인당 평균 4억 2천만 원. 이는 단순한 신고 누락이 아닌, 명백한 '탈루'의 증거다. 본지는 국세청의 자료와 전문가들의 분석을 토대로, 디지털 시대의 신흥 갑부들이 어떻게 국가의 감시망을 피해 부를 축적하고 있는지, 그 교묘한 수법과 구조적 문제를 심층 추적했다.

1부: 신종 산업, 구식 수법

유튜버들의 탈세 수법은 겉보기엔 첨단 산업의 산물 같지만, 그 본질은 놀랍도록 고전적이다. 바로 '소득 은닉'. 국세청이 가장 주시하는 부분은 플랫폼을 거치지 않는 현금 거래, 즉 '계좌이체 후원금'이다.

유튜브의 '슈퍼챗'이나 아프리카TV의 '별풍선'은 플랫폼을 통해 정산되기에 소득이 비교적 투명하게 드러난다. 하지만 많은 BJ와 유튜버들은 방송 화면 한쪽에 개인 계좌번호를 버젓이 띄워놓는다. '자율 구독료', 'OO님 커피 한 잔 사주기' 등 그럴듯한 명목을 붙이지만, 사실상 이는 국세청의 추적을 피하기 위한 '디지털 팁 박스'나 다름없다. 수많은 시청자가 십시일반으로 보낸 돈이 모여 거액이 되지만, 이 돈은 세무 당국의 공식적인 소득 집계에서 유령처럼 사라진다.

"문제는 현금 흐름입니다. 디지털화될수록 추적이 쉬울 것 같지만, 차명 계좌나 가족 명의 계좌로 분산되면 자금의 출처와 최종 귀속자를 특정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 세무법인 관계자 A씨

2부: 탈세의 해부학 - '엑셀 방송'과 '사이버 렉카'

소득 은닉이 전통적인 수법이라면, '엑셀 방송'과 '사이버 렉카'는 탈세의 규모를 극대화하는 신종 비즈니스 모델이다.

'엑셀 방송'은 시청자의 후원 경쟁 심리를 교묘하게 이용한다. BJ들은 후원금 순위를 실시간으로 엑셀 표에 정리해 보여주며 팬덤 간의 대결을 부추긴다. 이 과정에서 하룻밤에 수천만 원, 수억 원의 돈이 오간다. 국세청은 이 모델을 '유사 도박' 행위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막대한 현금이 오가는 판이 벌어지지만, 정작 판을 주최한 BJ는 그 수익을 제대로 신고하지 않아 세금을 회피하는 것이다.

'사이버 렉카'의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이들은 사회적 논란이나 개인의 불행을 자극적으로 가공해 트래픽을 유발하고, 그 대가로 광고 수익을 얻는다. 비윤리적인 방식으로 번 돈이기에, 세금 신고 역시 투명하게 이루어질 리 만무하다. 이들은 채널 폐쇄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수익을 해외 계좌로 빼돌리거나 가상자산으로 전환하는 등 더욱 지능적인 수법을 동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3부: 감시자의 눈, 그리고 남겨진 과제

국세청의 대응도 진화하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과 금융정보분석원(FIU)과의 공조를 통해 의심스러운 자금 흐름을 포착하고, 탈루 혐의가 짙은 고소득 유튜버들을 정밀 타격하고 있다. 이번 89억 원 추징은 그 서막에 불과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하지만 법과 제도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과세 사각지대'는 여전히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후원금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과 함께, MCN(다중 채널 네트워크) 등 소속사의 원천징수 의무를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영향력이 커진 만큼, 사회적 책임도 무거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이 문제는 '성실 납세'라는 사회적 약속에 대한 이야기다. 누군가의 열광과 지지가 특정인의 불투명한 부 축적에 이용되어서는 안 된다. 유튜버 세금 탈루에 대한 국세청의 칼날이 더욱 날카로워져야 하는 이유다.

이 블로그 검색

태그

신고하기

이미지alt태그 입력